본문 바로가기
경제와 정보

삼일절 뜻 행사 (+ 대체공휴일 근무수당 계산방법)

by ppung2 2025. 2. 27.

삼일절은 우리나라의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날입니다. 3월 1일은 한국인에게 단순한 기념일이 아니라 우리 민족의 자주성과 독립을 위한 투쟁의 상징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삼일절

 

 

삼일절의 뜻과 역사적 배경, 삼일절에 열리는 행사, 그리고 대체공휴일인 3월 3일에 근무할 경우 근무수당은 어떻게 계산하는 지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삼일절의 뜻과 역사적 배경

 

 

삼일절은 1919년 3월 1일, 서울에서 시작된 독립운동을 기념하는 날입니다. 우리 민족이 일본 제국의 압박에 맞서 싸운 역사적 사건으로 이 날 33명의 민족대표가 독립선언서를 발표하며 "대한독립 만세!"를 외쳤습니다

 

삼일절삼일절삼일절
출처: 독립기념관 홈페이지

 

온 민족이 일어나 평화적 시위를 했던 삼일운동의 자주독립정신을 기념하기 위해 이 날을 국경일로 정하였고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에 따라 공휴일이 되었습니다

 

삼일절은 이러한 역사적 배경을 바탕으로 매년 기념하고 있으며 우리 민족의 자긍심을 높이는 무척 중요한 날입니다

 

2025년 삼일절 행사

 

 

2025년 삼일절은 제106주년을 맞이합니다. 3.1절에는 정부와 각 지자체에서 독립운동가를 기리며 다양한 문화행사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삼일절삼일절삼일절
출처: 독립기념관 홈페이지

 

독립기념관에서는 삼일절을 맞아 '겨레의 함성'이라는 문화행사를 개최합니다. '독립선언 퍼포먼스', '삼일절 퍼포먼스' 등이 펼쳐지고 대한민국임시정보 요인들이 탑승했던 'C-47 수송 비행기'를 타볼 수 있는 체험, 독립군 의상 체험 등 다양한 체험행사가 진행될 예정입니다

 

삼일절의 의미를 되새겨보고 싶으시다면 독립기념관에 방문하셔서 삼일절 행사에 참여해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독립기념관의 문화행사와 체험내용은 아래 버튼을 통해 자세하게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삼일절

 

 

 

서대문독립공원서대문형무소역사관 일대에서도 삼일절 행사가 진행됩니다. '서대문, 1919 그날의 함성'이라는 주제로 펼쳐지는 이날 행사에서는 시민들의 만세 행진, 독립운동 재현 퍼포먼스 등이 진행될 예정입니다

 

서울 효창공원 일대와 이봉창 역사울림관에는 '태극기 거리'가 만들어지는 등 삼일절을 맞아 다양한 행사가 열릴 예정입니다

 

대체공휴일의 개념 및 적용 대상

 

 

삼일절인 3월 1일은 법정공휴일입니다. 이번 2025년도 삼일절은 토요일이어서 3월 3일이 대체공휴일로 지정되었습니다

 

대체공휴일이란 공휴일이 주말과 겹칠 경우 그다음 평일을 공휴일로 지정하는 것을 말합니다. 대체공휴일은 한해의 공휴일이 줄어들지 않도록 보장해 주는 것으로 근로자의 휴식에 대한 권리를 지켜주는 제도입니다

 

 

▶ 대체공휴일의 적용 대상

 

삼일절삼일절삼일절

 

 

상시근로자 5인 이상의 사업장이라면 대체공휴일의 의무 적용 대상에 해당됩니다. 해당 사업장은 대체공휴일 및 법정 공휴일을 유급휴일로 보장해주어야 합니다

 

대체공휴일이 적용되는 사업장에서 근로자가 대체공휴일에 근무를 하였다면 휴일 급여 및 가산 수당 등의 추가 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상시근로자 5인 미만의 사업장은 대체공휴일 의무 적용 대상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의무 적용 대상이 아닌 경우 사업주의 재량으로 쉴 수는 있지만 의무는 아닙니다. 만약 근로자가 대체공휴일에 근무를 하더라도 휴일근무수당을 지급할 의무 또한 없습니다

 

 

대체공휴일 근무수당 계산방법

 

 

'상시 5인 이상 사업장' 등 대체공휴일이 의무 적용되는 사업장에서 근무하시는 분이라면 임시공휴일에 일하게 될 경우 휴일 근무 수당을 추가로 받으실 수 있습니다

 

대체공휴일 근무수당을 계산하는 방법은 급여가 시간제인지, 월급제인지에 따라 조금 차이가 있습니다

 

 

 1. 월급제 공휴일 근무수당 계산방법

 

삼일절삼일절삼일절

 

월급제로 일하는 근로자가 대체공휴일에 근무하게 되는 경우 자신의 통상임금의 1.5배를 휴일 근무수당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대체공휴일에 8시간을 초과하여 근무하는 경우 8시간까지는 임금의 1.5배를 지급받고 8시간을 넘는 시간에 대해서는 임금의 2배를 받을 수 있습니다

 

 

▶ 월급이 315만 원으로 통상 시급을 약 15,000원 받는 근로자라면

 

· 5시간 근무 시

(15,000원 X 5시간) X 150% = 112,500원

 

· 10시간 근무 시

[(15,000원 X 8시간) X 150%] + [(15,000원 X 초과 2시간) X 200%] =240,000원 

 

 

 

 

 2. 시간제 공휴일 근무수당 계산방법

 

시간제로 근무하시는 분이 대체공휴일에 일하게 될 경우에도 추가 수당을 지급받으실 수 있습니다 시간제 근로자가 공휴일에 근무할 경우 기본적인 임금(100%)유급 휴일 수당 100%휴일 근로 수당 50%를 추가로 받게 됩니다

 

▶ 시급이 12000원인 근로자일 경우

 

· 6시간 근무 시

: (기본임금 12000원 X 6시간 = 72000원) + ( 유급 휴일 수당 100% = 72000원) + (휴일 근로 수당 50% = 72000원 X 50% = 36000원)

 

72000원 + 72000원 + 36000원 = 18만 원

 

 

 

 

3월 1일에는 삼일절의 의미를 되새기며 독립의 감사함과 소중함을 생각해 보는 하루가 되시길 바랍니다. 가족과 편안한 휴일 보내세요

 

 

▼ 같이 보면 좋은 글 ▼

 

 

임시공휴일 적용대상 근무수당 계산방법_ 1월 27일 임시공휴일 확정

공휴일은 근로자와 학생을 포함하여 많은 분들이 기다리는 소중한 날입니다. 특히 임시공휴일은 특별한 경우에 지정되는 날이기 때문에 임시공휴일의 적용대상과 근무수당이 궁금하실 거예요

dalppungsbat-002.tistory.com